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색인/크롤링 하는 법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당연히 글이 발행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글을 발행했더라도 구글에서 내 글을 바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글을 작성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구글에서는 아직 내 글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고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하여 서치콘솔을 통해 내 글을 수동으로 등록해 주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콘솔이란?


구글 서치콘솔이란 다음과 같이 구글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료 툴입니다. 구글 서치콘솔에서 구글의 입장에서 사이트를 파악하며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방법


구글 서치콘솔에서 자신의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서 html에 서치콘솔 태그를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아래를 보고 따라 해보시기 바랍니다.

1.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있습니다. 빨간 곳에 자신의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2. HTML 태그를 이용해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빨간 네모창을 클릭해 줍니다.

3. 복사 후 html head 섹션에 붙여 넣으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복사’를 눌러줍니다.

4. 티스토리의 [스킨 편집] → [ html 편집]을 눌러줍니다.

5. html 편집에서 head 밑에 복사한 것을 붙여넣기 후 ‘적용’을 눌러줍니다.

6. 다시 서치콘솔로 돌아와서 확인을 누르면 소유권 확인이 완료됩니다.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으면 서치 콘솔에서 기본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치 콘솔 사이트맵 제출(기본 설정 방법)


sitemap, rss를 제출해 주면 구글 로봇이 글을 가져가기 수월해집니다. 따라서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 서치 콘솔 접속 후 [Sitemaps] 클릭

2. sitemap.xml 와 rss를 입력 후 제출하여 줍니다.

3. 제출을 하면 아래에 제출된 사이트맵에 성공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치 콘솔 수동 색인 요청 방법


색인은 간단하게 말해서 구글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블로그가 오래되고 인지도가 쌓이게 된다면 글을 작성 후 로봇이 자동으로 글을 가져가서 색인이 되지만, 초반 블로그의 경우 글을 자동으로 가져가지 않아 색인 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수동으로 색인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빨간 부분에 자신의 글 도메인 주소 입력하기

2. 입력 후 아래와 같이 구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색인 요청을 눌러줍니다.

3. 색인 생성 요청을 해주면 10~30초 정도 걸린 후 색인 요청이 완료됩니다.

구글에 색인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입력하면 색인이 되어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표시되면 구글에 아직 색인되지 않은 것입니다.

색인이 완료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자신의 사이트가 등록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애드센스 승인을 위한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방법과 수동 색인(크롤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